회계 (accounting)의 기본은 알자!
"회계" 하면 내 기억엔 꼬꼬마 시절 할아버지가 주판으로 계산하던 기억,
그리고 자산=자본+부채 이 정도 같다. 무척 재미없고 건조한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요즘 드는 생각은 기본적으로 이 정도는 알아야 주식이든, 투자든 계산하는 데 무엇보다 투자한 기업의 정보를 들여다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간단 용어 정리 시작!
BALANCE SHEET (대차대조표):
특정시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경제적인 자원)과 부채, 자본잔액에 관한 정보를 보고하는 양식.
자산 (ASSET) = 자본 (EQUITY) + 부채 (LIABILITIES) 의 형식을 띤다.
INCOME STATEMENT (손익 계산서) :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보고서로 당해 회계기간의 경영성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현금흐름과 수익창출 능력 등의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기록하여 당해 기간 동안 얼마만큼의 이익 또는 손실을 보았는지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두 개의 회계원칙
BALANCE SHEET과 INCOME STATEMENT에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다.
외상매출금등 아직 현금화하지 못한 매출을 포함하고 있다, 약속날짜에 들어오지 못할 수도 있는 불확실한 매출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외상매출도 매출로 잡는 회계원칙인 ACCRUAL BASIS ACCOUNTING (발생주의 회계원칙)때문이다. 이러한 맹점이 장부는 화려하나 흑자도산을 가능하게 할 만큼 빈틈이 있는 회계원칙이라고 한다.
오직 현금의 유, 출입만을 기준으로 기업의 내실을 판단하는 것이 STATEMENT OF CASH FLOW (현금 흐름표)인데, 현금이 들어오면 + , 나가면 - 로 기록한다. 이를 CASH BASIS ACCOUNTING (현금주의 회계원칙)이라고 한다.
투자를 위한 기본 회계용어 공부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
미국 FASB가 정한 회계원칙으로 클래식한 원칙적인 회계방식이다.
-Non-GAAP :
역사적으로 반복될 가능성이 적은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회계원칙이다.
(EX, 기업인수합병(M&A), 구조조정 같은 법적인 합의와 관련된 비용들이 대표적 일회성 비용으로 Non GAAP이다.)
-FY (FISCAL YEAR: 회계연도)
-FYE(FISCAL YEAR END: 회계결산 마감일)
-FINANCIAL STATEMENT (재무제표)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연결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는 PARENT COMPANY(모회사)와 모든 SUBSIDIARIES (자회사)의 자산, 자본, 부채, 자본, 이익 등, 현금흐름까지도 모든 회계항목을 합쳐서 만든 회계장부이다. 각각은 개별법인이지만 하나로 묶어서 이해하는 개념을 SINGLE ECONOMIC ENTITY라고 한다. 지분을 50% 이상 소유한 경우에는 SUBSIDIARY이지만 그 이하여도 영업의 영향력과 보이지 않는 경영능력으로 CONTROL이 있다고 판단하면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에 포함한다.
-GOING CONCERN ASSUMPTION(계속 기업가정):
기업활동은 무기한으로 계속된다는 가정아래 이루어진다. FINANCIAL STATEMENTS 등도 이 가정을 대전제로 작성된다.
-AUDIT REPORT(회계감사보고서) :
FINANCIAL STATEMTNS가 회계원칙을 얼마나 잘 지키면 작성되었는지를 기업과 무관한 독립 AUDIT (회계감사)가 평가한 감사보고서이다.
-BALANCE SHEET(대차대조표) 일정한 재무 사태를 나타내는 회계보고서이다.
대차대조표의 3대 항목이 자산, 자본, 부채이다.
-ASSET(자산), LIABILITIES (부채), EQUITY (자본)
-CAPITAL (자본금) : EQUITY의 부분집합이다.
-EQUITY(자본) :
CAPITAL, CAPITAL SURPLUS, RETAINED EARNINGS 등이 있다.
-LIABILITIES (부채) :
경영상의 모든 의무로 포괄적인 범위를 가진다. 비슷한 느낌의 DEBT(차입금)은 운영을 위해 빌린 자금이다.
-RETAINED EARNINGS (유보이익, 이익잉여금) :
주주들에게 배당 후 남은 금액은 BALANCE SHEET의 EQUITY에 RETAINED EARNINGS의 소항목으로 기록한다.
-PAID-IN-CAPITAL (납입자본금):
IPO나 SECONDARY OFFERING(유상증자)를 통해 보통주와 우선주를 팔면 사내로 납입금이 들어온다. 이것이 PAID-IN-CAPITAL이다.
-ADDITIONAL PAID-IN-CAPITAL (주식 발행초과금):
주권에 $70으로 표기하여 $100에 팔면 $70달러의 PAID-IN-CAPITAL과 $30의 ADDITONAL PAID-IN-CAPITAL로 구분하여 기록된다. 주권전면에 표시된 $70을 FACE VALUE라고 하고 BALANCE SHEET에 ADDITIONAL -PAID-IN-CAPITAL이란 항목이 있다면 액면가로 주식을 발행하여 더 비싼 가격으로 판매한다.
대부분의 미국주식은 액면가 없이 발행되므로 PAID-IN CAPITAL의 EQUITY항목에서 ADDITIONAL PAID-IN-CAPITAL을 찾을 수 없다.
-WORKING CAPITAL (운전자본) :
이 금액이 많으면 외상이 과도해 위험하다는 의미이다.
-GOODWILL:고객충성도와 브랜드 평판같이 계량화하기 힘든 INTANGIBLE ASSET이다.
-INCOME STSTEMENT (손익계산서)
-REVENUE(=SALES:매출액)/ COGS (COST OF GGODS SOLD 매출원가)
-GROSS PROFIT (매출 총이익) / OPERATING INCOME(영업이익)
-DEPRECIATION (감가)/ AMORTIZATION (상각)
-STATEMENT OF CASH FLOWS (현금흐름표) :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표이다.
-CAPITAL EXPENDITURE (자본적 지출): 고정자산의 구입과 유지보수를 위한 투자성 지출을 의미한다.
-FREE CASH FLOW(FCF: 잉여현금흐름)
-CASH EQUIVALENTS(현금성 자산)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상식 : 스팁소비 : S.T.E.E.P. & -슈머 (1) | 2023.06.28 |
---|---|
경제적 불평등 지표: 지니계수와 로렌츠 곡선, 팔마 비율 ETC.. (1) | 2023.06.22 |
채권이야기: 아는 데까지 정리해보기 (1) | 2023.03.15 |
경제 상식 : 근린 궁핍화정책 (0) | 2023.03.02 |
경제 상식 : 경기 순환 파동 이론이란 ? 콘트라티예프 이론 + ETC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