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상식 30

파레토의 법칙 : 20: 80 의 원리

파레토의 법칙 : 80 / 20 법칙의 원리 파레토 법칙의 탄생 빌프레도 파레토는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사회학자, 정치학자, 공학자였으며, 1846년 6월 15일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태어났다. 그는 토지 소유 분포에 대한 연구를 통해 80/20 법칙을 발견했으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불균형 현상을 설명하는 통계적 관찰이 되었다. 1896년, 파레토는 이탈리아의 토지 소유 분포를 연구했다. 그는 토지 소유의 불균형 현상에 주목하며, 소수의 사람들이 대부분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의 연구 결과, 이탈리아 전체 토지의 80%가 인구의 20%만이 소유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파레토는 이러한 불균형 현상이 단순히 이탈리아 토지 소유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다른 많은 분야에서도 ..

경제상식 2024.04.19

은행끼리 돈 빌리는 금리, 리보 이야기

옛날 옛적에, 어떤 마을에 여러 은행들이 있었다. 그 은행들간에 돈을 빌려주고 빌리는 일이 생겨났다. 그런데 은행들이 돈을 빌려주고 빌릴 때 얼마의 이자를 받아야 할지 싸우는 일이 많았다. 어떤 은행은 아주 적은 이자만 주고 싶어했고, 어떤 은행은 많은 이자를 받고 싶어했다. 이런 다툼 때문에 마을의 금융 시장이 소란스러워졌다. 몇몇의 생각있는 현명한 은행장들이 모여서 한 가지 좋은 방법을 생각해냈었다. 바로 모든 은행들이 똑같은 이자율로 서로 돈을 빌려주고 빌리는 것이었다. 그들은 이렇게 정한 이자율을 “리보(LIBOR) “라고 부르기로 했다. 리보란? **리보(LIBOR)**는 **런던 은행 간 시장(London Interbank Offered Rate)**의 약자로, 런던의 주요 은행들이 서로 단기..

경제상식 2024.04.16

오쿤의 법칙 OKUN’S LAW

오쿤의 법칙 OKUN’S LAW 유명한 맛집에 갔다. 오랜만에 맛있는 음식을 먹을 기대에 부풀어 도착했다. 그런데 왠일인가? 맛집 앞은선 대기 손님들로 북새통이다. 오전 11시에 도착했고 아직 점심시간이 1시간 이상 남아있는데도 사람들의 줄은 줄어들 것 같지 않다. 10여분이 지나자 갑자기 그렇게 긴 줄이 줄어들더니 내 차례가 얼마남지 않았다. 덩달아 맛있는 음식을 먹을 기대도 높아져서 기분이 너무 좋았다. 긴 대기줄이 짧아지면 나의 음식에 대한 기대심과 행복도도 같이 높아진 것이다. 오쿤의 법칙이 이와 비슷하다. 오쿤의 법칙은 실업률과 경제 성장률 사이의 숨겨진 비밀을 밝혔다. 즉, 실업률이 1% 감소하면 경제 성장률은 약 2.5% 증가한다는 것이다. 1962년 미국 경제학자인 아서 멜빈 오쿤이 OKU..

경제상식 2024.03.15

펭귄 효과: 친구들이 사니까 나도 사야 할까?

펭귄 효과: 친구들이 사니까 나도 사야 할까?펭귄 무리의 비밀펭귄들이 얼음 위를 어떻게 움직이는지 본 적 있을 것이다. 펭귄들은 서로 밀착해서 줄지어 움직인다.무리 중 맨 앞 펭귄은 추위와 바람을 맞으며 힘들게 길을 뚫지만, 뒤따라오는 펭귄들은 훨씬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펭귄 한 마리가 바다에 뛰어들면 잠시 후 나머지 펭귄들도 먼저 뛰어든 펭귄을 따라 바다로 뛰어든다. 이 놀라운 따라쟁이 움직임은 **"펭귄 효과(the penguin effect)"**라는 재미있는 비유의 근원이 되었다. 행동경제학자들은 이 펭귄들의 행동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First Peguin 그리고 따라쟁이들상상해 보자. 아이스크림 가게 앞에 서 있는 두 아이, 민이와 은이가 있다. 민이는 초콜릿 아이스크림을 먹고 ..

경제상식 2024.03.13

골디락스와 세 마리의 곰

골디락스와 세 마리의 곰 옛날 옛적에 숲 속 오두막에 사는 세 마리의 곰이 있었다. 아빠 곰, 엄마 곰, 그리고 아기 곰은 각자 크기가 다른 의자와 침대를 가지고 있었다. 어느 날, 숲 속을 거닐던 골디락스라는 소녀는 우연히 이 오두막을 발견한다. 호기심에 가득 찬 골디락스는 마침 아무도 없는 오두막 안으로 들어가 탐험을 시작한다. 먼저, 테이블 위에 놓여있는 세 그릇의 죽을 보게 되었다. 아빠 곰의 죽은 너무 뜨거워서 먹을 수 없었고, 아기 곰의 죽은 너무 차가워서 맛이 없었다. 그런데 엄마 곰의 죽은 맛도 좋고 온도도 적당하여 마침내 모두 먹어 버린다. 골디락스는 배가 고팠으므로 엄마 죽으로 배를 채우고 곰들의 의자에 앉아 쉬기로 한다. 하지만 아빠 곰의 의자는 너무 높고 단단하여 불편했고, 아기 곰..

경제상식 2024.02.28

승자의 저주와 피로스의 저주

승자의 저주와 피로스의 저주 : 승리의 달콤함 뒤에 도사리는 그림자 영화를 보다가 주인공이 숨 막히는 역경을 극복하고 극적인 승리를 거두는 장면을 보면 짜릿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곤 한다. 하지만 현실은 영화처럼 단순하지 않다. 역사를 돌아보면, 승리의 기쁨 뒤에 씁쓸한 여운이 남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글에서는 승리의 달콤함 뒤에 도사리는 그림자, '승자의 저주'와 '피로스의 저주'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비슷하나 다르다. 승자의 저주와 피로스의 저주는 모두 승리 뒤에 오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승리의 방식과 부정적인 결과의 양상에 있어 차이가 있다 승자의 저주란 경쟁에서 승리했지만 예상보다 낮은 가치를 얻거나 원하는 것을 쟁취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이 너무 과도하여 실제로는 손실을 보는 상..

경제상식 2024.02.08

캐즘(Chasm)이란?

캐즘(Chasm)이란? **캐즘(Chasm)**은 첨단 기술이나 제품이 출시된 후 초기 시장과 주류 시장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되거나 후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캐즘이 발생하는 이유 초기 시장의 소비자는 혁신성을 중시하고 주류 시장의 소비자는 실용성을 중시한다. 따라서 초기 시장과 주류 시장의 소비자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기에는 첨단 기술이나 제품은 가격이 비싸고 기능이 제한적이라 주류시장의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 수 없다. 또한 주류 시장의 소비자들은 가격이 저렴하고 기능이 충분한 제품을 선호란다. 이처럼 주류시장의 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초기시장에서 조차 정체 내지 후퇴된다. 캐즘을 극복하는 방법 3가지 초기 시장의 소비자 확대:초기 시장의 소비자를 확대한다. 초기 ..

경제상식 2024.01.30

출구전략(exit strategy)이란

출구전략(exit strategy)이란 어떤 상황에서나 원활하게 탈출하거나 대응할 수 있는 계획이나 전략을 의미한다. 이는 자연재해 극복, 전쟁에서의 복귀, 경제적인 연등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여기서는 경제적인 면에 관련해서 정리해보려한다. 출구전략이라는 용어의 기원 전쟁이나 비상 상황에서 전투 중에 만약 전략이 실패하면 퇴각하는 시나리오 용어로 안전한 위치로 철수하는 계획이 출구전략이다. 경제용어로써의 "출구전략" 요즈음은 출구전략이라는 용어를 나라의 경제경영이나 기업에서도 경영 위기 시에 자산을 보호하고 회복하기위해 사용하고 실행한다. 특히, 정부나 중앙은행 등이 어떤 정책을 시행한 후에 그 정책을 어떻게 철회하거나 조절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일시적..

경제상식 2024.01.18

흑자부도 가 뭐야?

흑자부도 가 뭐야?흑자와 부도는 서로 상생이 맞지 않다. 흑자를 내는 기업이 부도가 날 일이 없지 않을까? 부도는 갚아야 할 금액을 결제일에 갚지 못해 일어나는 일이고 흑자는 기업이 물건을 잘 팔고 경영을 잘해서 수익을 잘 내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흑자부도의 정의흑자부도는 기업이 이익을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인 자금난으로 인해 망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부동산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현금이 없어서 어음을 갚지 못하는 경우가 흑자부도의 사례이다. 흑자부도는 흑자도산이라고도 불리며, 중소기업이나 부동산 PF 사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착각이 일으킨 도산기업이 재무제표상에는 흑자를 예상하고 있다. 흑자 경영을 하면서도 자금 회전이 잘 되지 않아 도산을 한다..기업의..

경제상식 2024.01.12

유동성(liquidity)이란?

유동성(liquidity)이란? 뉴스를 듣거나 보다 보면 유동성이란 말이 자주 들린다. 경제학적인 면에서 유동성이란 말은 뭘까? 경제학에서 유동성은 어떤 자산이나 금융 상품을 얼마나 빠르게 현금으로 변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높은 유동성은 자산이나 금융 상품을 신속하게 팔아 현금으로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시장에서 거래의 원활한 진행을 지원하고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의 역사를 통해 유동성에 대해 설명한다면 1929년의 대공황과 같은 금융 위기와 2008뇬 금융위기를 예로 들 수 있다. 1929년 대공황 시기에는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자산을 판매하고 현금으로 변환하려 했다. 그러나 당시 주식시장은 유동성이 낮아 많은 투자자가 자신의 자산을 ..

경제상식 2024.01.10
반응형